2022년 공공기관 연봉 순위 1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 공공기관 연봉 순위 2022년 기준 한국의 공공기관 가운데 평균 연봉이 현대자동차보다 높은 곳이 무려 9곳이나 있었습니다. 임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이 넘는 공공기관은 15곳에 달했는데요. 전체 공공기관 직원의 평균 연봉은 대기업보다도 높고 중소기업의 2배를 웃돌았습니다. 공공기관 신입사원 초임은 3790만원 수준이었으며, 5000만원이 넘는 곳은 7곳에 달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직원의 평균 보수 수치를 공시한 공공기관 362곳의 … Read more

대한민국 샐러리맨 업종별 월급 순위 [통계청]

금융업 월평균 소득 1위 한국에서 업종별 샐러리맨(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에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모아집니다. 2023년 2월 통계청은 해당 내용을 담은 <2021년 임금근로자 소득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2021년 기준 한국에서 금융업과 보험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월평균 소득이 726만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다음으로 전기, 가스, 증기, 공기조절공급업(663만원)과 외국기관(515만원)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숙박업 음식점업 월급 최하위 반면 숙박업과 음식점업 근로자의 평균 소득은 … Read more

2022년 서울 합계출산율 0.59명 충격 [통계청]

한국 출산율 0.7명대 2022년 서울의 합계출산율이 0.5명대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의 전국 합계출산율은 0.7명대로 떨어졌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출생아 수는 20년 전의 반 토막인 25만명 수준으로 급감했습니다. 처음 엄마가 되는 평균 나이는 33세로 OECD 평균보다 4살 가까이 많았습니다. 통계청은 <2022년 12월 인구동향>을 발표했는데요. 2022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전년보다 0.03명 줄어 1970년 통계 작성 … Read more

노후에 가난한 한국인 노인빈곤율 OECD 최고

한국 노인빈곤율 OECD 1위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30% 후반대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여전히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한국의 노인 빈곤 상황은 다소 개선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줄곧 40%대를 벗어나지 못하다가 2020년 처음 30%대로 떨어졌는데, 2021년에는 더 낮아졌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OECD 나라 중에선 가장 높습니다. 한국 노인빈곤율 37.6%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에 따르면 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 … Read more

한국인 생애 소득 42세 정점, 61세부터 적자 인생

한국인 42세 소득 정점 3725만원 대한민국 국민의 소득이 42세 때 3725만원으로 정점을 찍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다만 한국인은 61세부터 적자 인생으로 전환합니다. 통계청은 <2020년 국민이전계정>을 발표했는데요. 국민이전계정이란 소비와 소득의 관계를 연령 변화에 초점을 두고 세대 간 경제적 자원의 흐름을 파악하는 통계입니다.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정부, 가계의 재정 부담 등 미래 위험요인을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작성되는데요. 생애주기 … Read more